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성장 중인 프리랜서를 위한 시간당 단가 계산법

by Yoonraccoon 2025. 5. 12.

프리랜서로 일하면서 가장 자주 마주치는 고민 중 하나는 바로 “내 시간당 단가는 얼마여야 할까?”라는 질문입니다. 단가를 너무 낮게 책정하면 과로에 시달리면서도 수익은 적고, 반대로 너무 높이면 고객을 잃을까 두렵습니다. 특히 경력이 쌓여가는 성장 중인 프리랜서는 적정 단가를 어떻게 설정하고, 언제 조정해야 할지 감이 잡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현실적이면서도 성장 가능한 시간당 단가 계산법을 단계별로 정리해드립니다.


1단계: 목표 수입 설정

단가 계산은 단순히 ‘시장 평균’을 따르는 게 아니라, 내가 살아가기 위한 수입을 기준으로 역산해야 합니다.

  1. 연간 목표 수입 정하기
    예: 5,000만 원 (세전 기준)
  2. 연간 비용 추산하기
    • 건강보험, 국민연금 등 세금 및 4대 보험
    • 노트북, 소프트웨어, 마케팅비, 사무용품
    • 업무 공간 비용(카페, 공유오피스 등)
    • 교육비나 자기계발비
      예산 예: 연간 비용 1,000만 원
  3. 연간 총 필요 수입 = 목표 수입 + 비용
    → 5,000만 원 + 1,000만 원 = 6,000만 원

2단계: 실제 작업 가능 시간 계산

프리랜서는 회사원처럼 주 40시간을 온전히 과금할 수 없습니다. 이메일, 상담, 견적서 작성, 청구서 관리 등 **비과금 업무(Non-Billable Work)**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1. 연간 실제 근무 주: 휴가 및 공휴일 제외 약 48주
  2. 주당 작업 가능 시간: 평균 25시간 (일 5시간 × 주 5일 중 작업 가능한 시간만)
  3. 연간 과금 가능 시간 = 25시간 × 48주 = 1,200시간

3단계: 시간당 단가 계산

이제 총 수입 목표를 실제 과금 가능 시간으로 나눕니다.

  • 시간당 단가 = 연간 총 수입 목표 ÷ 과금 가능 시간
  • = 6,000만 원 ÷ 1,200시간 = 50,000원

즉, 현실적인 기준으로 성장 중인 프리랜서의 최소 시간당 단가는 5만 원입니다. 여기에 전문성, 난이도, 긴급성, 반복 여부에 따라 가산 또는 감산 요율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성장 중인 프리랜서를 위한 시간당 단가 계산법


4단계: 서비스별 맞춤 단가 적용

프리랜서 일은 늘 시간당 과금으로 진행되진 않습니다. 그래서 이 시간당 단가를 바탕으로, 실제 서비스 패키지나 견적에 반영하는 게 중요합니다.

  • 예시1: 블로그 콘텐츠 1건 작성
    예상 소요 시간: 자료 조사(1h) + 작성(2h) + 편집 및 송신(1h) = 4시간
    → 5만 원 × 4 = 20만 원
  • 예시2: 영상 편집 1건
    컷 편집(3h) + 자막 및 색보정(2h) + 수정 반영(1h) = 6시간
    → 5만 원 × 6 = 30만 원

이런 식으로, 서비스의 구성 요소와 시간을 미리 정리해두면 견적 산정이 간편하고, 클라이언트와의 협상에서도 신뢰를 줍니다.


5단계: 단가 조정 시기와 기준

성장하면서 단가를 올리는 건 당연한 일입니다. 문제는 언제, 어떻게 조정할지입니다.

단가를 올릴 수 있는 신호들:

  • 의뢰가 너무 많아 시간이 부족하다
  • 이전보다 작업 속도와 품질이 좋아졌다
  • 전문성을 입증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리뷰가 쌓였다
  • 같은 작업에 대한 시장 시세가 더 높다

조정 방식은 갑작스럽게 전면 인상하기보다는, 신규 고객부터 적용하거나, 기존 고객에겐 고지 후 유예 기간 제공하는 방식이 좋습니다.


마무리: 시간당 단가는 ‘나의 가치’를 수치화하는 것

시간당 단가는 단순히 가격이 아니라, 자신의 노동 가치를 정의하는 숫자입니다. 수입, 삶의 질, 경력 성장이 모두 이 계산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수치에 감정을 개입시키지 말고, 철저히 현실을 기준으로 계산해보세요. 그리고 그 숫자를 기반으로 나만의 가격표를 만들어 나갈 때, 프리랜서로서의 자존감과 지속 가능성이 함께 성장하게 될 것입니다.